운영체제/LINUX

[Linux] Linux Basic (리눅스 기초)

benjykim 2021. 5. 24. 08:00
반응형

LINUX 기초 지식

계정 및 그룹

useradd, userdel, usermod

  • useradd : 사용자 계정 추가

      $ useradd ben
    
      # 옵션
      -c : 간단한 사용자 설명 코멘트 등록
      -d : 생성하는 계정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위치 지정 (-d /home/ben
      -e : 생성하는 계정의 사용종료 일자 지정 (-e 2021-08-01)
      -f : 생성하는 계정의 패스워크 유효일자 지정 (-f -30, 앞으로 30일 동안 유효한 계정)
      -g : 생성하는 계정의 로그인 그룹, 지정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사용자명과 같은 그룹 생성
      -G : 생성하는 계정의 추가등록 계정의 그룹명, 여러개일 경우 ,(콤마)로 구분. 지정하여도 사용자명과 같은 그룹은 자동으로 생성
      -p : 생성하는 계정의 패스워드 지정
      -s : 생성하는 계정의 로그인 쉘 (기본 값 /bin/bash)
      -u : 생성하는 계정의 UID 지정 (-u 1000)
    • useradd -D : useradd로 생성되는 것들의 기본 값들을 설정하는 명령어

      • /etc/default/useradd에 이 설정 값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수정 가능. useradd -D는 이 파일의 설정 값을 변경함

          $ useradd -D 
        
          # 출력
          GROUP=100 
          HOME=/home 
          INACTIVE=-1 
          EXPIRE= 
          SHELL=/bin/bash 
          SKEL=/etc/skel 
          CREATE_MAIL_SPOOL=yes  
        
          # 예시
          $ useradd -D -b /user // 홈디렉터리는 /usr로 변경
          $ useradd -D -s /bin/sh // 기본 쉘을 /bin/sh(본쉘)로 변경
    • 생성한 계정 확인

      • /etc/passwd에서 ben의 계정 정보 확인 가능

  • userdel : 사용자 계정 삭제
    • /etc/passwd 내의 계정 내용, /etc/shadow 내의 패스워드 내용, /etc/group 파일 내의 그룹 정보 내용, 그리고 -r옵션을 사용하여 계정을 삭제하면 /var/spool/mail 디렉터리에 있는 메일 파일과 홈 디렉터리의 내용 모두를 삭제함
    • userdel 명령어를 사용할 땐 -r 옵션을 사용했을 때와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차이점을 분명히 알고 있어야 한다.
      • userdel ben :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파일 내에 ben 에 대한 설정 값들은 모두 삭제된다. 그러나 ls -al /home/ben을 했을 시 ben의 홈 디렉터리와 메일 파일은 그대로 존재한다.
      • userdel -r ben : ben의 홈 디렉터리와 메일 파일까지 삭제된다.

  • usermod : 사용자 계정 정보 수정

    • usermod 명령어 옵션

        $ usermod -U 700 ben
      
        # 옵션 
        -u uid : 새로운 UID 지정
        -g gid : 새로운 GID 지정
        -G groups : 새로운 보조그룹 지정
        -d 홈 디렉터리 : 새로운 홈 디렉터리 지정
        -s 쉘 : 새로운 쉘을 지정
        -c 주석 : 새로운 주석 지정
        -I ID : 로그인 ID를 바꾸는 옵션

groupadd, groupdel, groupmod

  • groupadd : 새로운 그룹 생성

      $ groupadd roottest
      $ cat /etc/group | grep roottest
      roottest: x: 503: // gid를 지정하지 않았고 -r 옵션도 없기 때문에 가장 빠른 500번대 이후 숫자를 부여 받음
    
      # 옵션
      -g, --gid GID : 그룹에 gid를 지정
      -K  --key KEY=VALUE : /etc/login.defs defaults에 오버라이드
      -p, --password PASSWORD : use this encryted password for the new group
      -r, --system : 시스템에 사용되는 gid 부여 (500번 이하의 가장 빠른 gid 생성)

  • groupdel : 그룹 삭제
    • 그룹 안에 계정이 속해 있을 경우 삭제되지 않음
      $ groupdel roottest510

  • groupmod : 그룹 수정

      $ groupmod -g 510 -n roottest510 roottest
      // roottest라는 그룹의 gid와 그룹명 변경 (기본 gid - 503 인데, 510으로 변경 그리고 그룹명은 'roottest'에서 'roottest510'으로 변경)
    
      # 옵션
      -g, --gid GID : gid 변경 (-o 옵션과 같이 사용하여 중복 설정을 할 수도 있음)
      -n, --new-name NEW_GROUP : 그룹명을 변경할 때 사용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 /etc/passwd : 사용자 로그인 계정, 암호화된 비밀번호 UID, 기본 GID, 사용자 계정 이름(정보), 홈 디렉터리, 로그인 쉘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

    • 예시

        # 형식
        사용자 이름 : 패스워드 : 사용자 ID : 그룹 ID : 사용자 계정 이름(정보) : 사용자 계정 홈 디렉터리 : 사용자 계정 로그인 쉘
      
        EX) root:x:0:0:root:/root:/bin/bash
      
    • 최신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위의 예제의 패스워드처럼 x 라는 문자가 있는데, 이는 시스템에서 shadow 패스워드가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냄


  • /etc/shadow :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있고, 패스워드 설정 기간이나 유효성 정보도 들어 있는 파일
    • passwd 파일에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저장하지 않고 모든 사용자들이 읽을 수 있게 하고, 대신 shadow 파일에 패스워드를 저장하여 루트 사용자나 특별권한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서만(ex. 로그인 프로그램) 읽을 수 있도록 함
    • 예시
        # 형식
        사용자명 : 패스워드 : 패스워드 파일 최종 수정일 : 패스워드 변경 최소일 : 패스워드 변경 최대일 : 패스워드 만료 경고 기간 : 패스워드 파기 기간 : 계정 만료 기간 : 예약 필드
        root:$1$9L2L0oTwd:12751:0:99999:7 : : :

  • /etc/group : 그룹 목록이 있으며 한 줄에 한 그룹이 표시되고, 각 그룹은 4개의 기본 항목으로 구성된다.
    •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는 적어도 한 개의 그룹에 속한다.
    • 그룹을 추가하려면 passwd 파일을 열어서 기본 그룹 ID(GID)에 추가하면 된다.
    • 예시
        # 형식
        그룹 이름 : 그룹 패스워드(선택사항) : 그룹 ID : 그룹 멤버
        bin:x:1:root.bin,daemon
      • 그룹 패스워드 : 소속되지 않은 사용자를 가입시킬 대 설정하여 사용 가능

/etc/pam.d

  • /etc/pam.d/~ : PAM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의 설정 파일 위치. 파일명은 서비스 이름으로 되어 있음.
  • /etc/security : PAM 모듈 실행에 필요한 설정 파일. 파일명은 해당 서비스명.conf
  • /lib/security : PAM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인증 모듈들과 라이브러리(*.so)로 구현되어 있음

/etc/login.defs

  • /etc/login.defs : 패스워드의 사용기간 만료, 패스워드 최대 사용기간, 패스워드의 최소 변경기간 등의 패스워드 정책을 설정
  • chage : 기존 사용자의 암호 사용 설정 변경

프로세스

/etc/init.d, /etc/rc.d/rc*.d

  • /etc/init.d : 이 디렉터리는 System V init tool(SysVinit)가 사용하는 스크립트를 담고 있다. 이는 리눅스가 지금까지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인 init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스크립트들이다.

    /etc/init.d 안에는 init 프로세스가 특정한 서비스(apache, mysql 등)들을 start, stop, restart, reload 할 수 있는 쉘 스크립트들이 들어가 있다. 이 스크립트들은 사용자가 직접 실행할 수도 있고, /etc/rc.d/rc*.d 디렉터리에 링크가 연결되어 부팅 시에 자동으로 실행하게 할 수도 있다.
    • init 프로세스 : 커널 초기화 이후 가장 처음 실행되는 프로세스
  • /etc/init : 이 디렉터리는 Upstart가 사용하는 설정 파일들을 담고 있다. Upstart는 너무 오래된 init을 대체하기 위해 최근에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etc/init 디렉터리에는 Upstart가 start, stop, reload, status 명령을 통해서 특정 서비스를 어떻게 동작시켜야 하는 지에 대한 설정을 담고 있다. (Upstart는 systemd로 언젠간 대체될 예정임)

.d 디렉터리 이름에 대한 설명

.d 디렉터리 이름은 일반적으로 어떤 환경에 필요한 설정이나 스크립트를 담고 있다는 의미로 쓰인다.

예를 들어 /etc/apt/sources.list.dsources.list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파일들이 들어 있다. /etc/network/if-up.d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시킬 때 필요한 스크립트를 담고 있다.

/etc/inittab

  • /etc/inittab : 리눅스 부팅 시 어떠한 방법으로 부팅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는 파일. 해당 파일을 init 프로세스가 돌면서 읽고 해당 설정에 따라 부팅을 하게 된다.

  • runlevel 설명

      0 : 시스템 종료이다. 이것으로 설정하게되면 리눅스가 시작되자마자 종료하므로 싱글부트 모드로 접속하여 값을 변경해서 복구시켜야한다. (사용금지)
    
      1 : 윈도우 시스템의 안전모드와 비슷하다. 싱글 부트모드로 접속하는것인데 쓸일이 별로 없을것이다.
    
      왜냐, 보통 싱글부트모드는 grub에서 변경해서 들어가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2 : 네트워크가 연결 되지 않은 상태로 부팅이다.
    
      3 : 리눅스의 기본 모드로서 CUI 환경이다. 텍스트 모드라고 봐도 무방.
    
      4 : 사용자 정의 레벨 으로서 예약된곳이다. 비워져 있다.
    
      5 : 그래픽모드 즉 x-windows 를 부팅할때 자동으로 불러오려면 5를 사용하게 된다.
    
      6 : reboot , 부팅되자마자 재부팅이 된다 (사용금지)

RHEL 7 이상의 경우, systemctl 명령어로 관리(등록/삭제)


스토리지

fdisk, vgscan, vgdisplay, lvscan, lvdisplay

  • fdisk -l * diskinfo /dev/rdisk/disk10 : HP-UX의 PV 디스크 정보
    • fdisk : 새로운 파티션 생성, 기존 파티션 삭제, 파티션 타입 결정 등의 작업 수행 가능
    • fdisk -l : 현재 모든 디스크의 파티션 설정 현황 볼 수 있다.
  • vgscan : 디스크에 있는 볼륨 그룹(VG)을 검색하여 /etc/lvmtab 파일을 생성함. fdisk를 이용하여 파티션 속성을 LVM으로 지정한 후에 이 명령을 사용한다.
  • vgdisplay : 볼륩 그룹의 속성과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
    • vgdisplay -v vgdata : 좀 더 자세히 보여주는 옵션으로 VG 이외에 LV(Logical Volume)와 PV(Physical Volume)도 같이 보여준다.
  • lvscan : 디스크에 있는 LV를 찾아준다.
  • lvdisplay -v : LV의 정보를 보여준다.
  • mkfs.xfs /dev/vgdata/lvdata : /dev/vgdata/lvdata파티션을 XFS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한다.

/etc/fstab, mount, umount, fuser

  • /etc/fstab : 파일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리눅스 부팅 시 마운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이다.
  • mount -a : fstab에 있는 모든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한다.
  • mount /dev/vgdata/lvdata /mnt : 포맷한 볼륨을 /mnt 에 마운트
  • mount /data : /data 폴더 마운트
  • umount /data : /data 폴더 언마운트
  • fuser -cu /data : /data 폴더 접근하고 있는 프로세스 조회
  • fuser -cku /data : /data 폴더 접근하고 있는 프로세스 강제 Kill

네트워크

/etc/sysconfig/network,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etc/sysconfig/network : 시스템 전체에 대한 글로벌한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설정과 호스트네임, 네트워킹 연결 허용 여부를 설정하는 파일 (호스트네임은 설치 중에 입력한 내용이 반영됨)

    • 예시

        NETWORKING=yes
        HOSTNAME=benjykim.com
        GATEWAY=192.168.0.1

      설정 변경 후에는 /etc/rc.d/init.d/network restart로 네트워크를 재시작한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eth0은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이더넷 카드(랜카드)의 명칭으로 첫 번째 이더넷 카드를 뜻한다. 이 설정 파일에서 게이트 웨이 및 다른 설정사항들이 다른 설정파일과 중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이곳의 설정 파일이 우선시되어 적용된다.
      예시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장치명, 첫번째 이더넷카드 
        DEVICE=eth0 
        # IP 부여 방식 결정, static 은 고정IP 
        BOOTPROTO=static 
        # 이더넷카드의 MAC 주소 
        HWADDR=XX:XX:XX:XX:XX:XX 
        # GUI 모드에서의 편리한 네트워크설정 허용, TUI에선 필요없음 
        NM_CONTROLLED=no 
        # 시스템 시작시 자동으로 활성화 
        ONBOOT=yes 
        # Ethernet 에 대한 설정 
        TYPE=Ethernet 
        # 고유ID를 부여하는 것으로 자동으로 부여됨 
        UUID=XXXXXXX-XXX-XXX-XXX-XXXXXXX 
        # 브로드캐스트 지정 
        BROADCAST=192.168.0.255 
        # IP 주소 지정 
        IPADDR=192.168.0.5 
        # 서브넷마스크 지정 
        NETMASK=255.255.255.0 
        # 네트워크 지정 
        NETWORK=192.168.0.0 
        # Wake On Lan 기능 활성화, Ethtool 이 필요한데 CentOS 기본 설치되어 있음 
        ETHTOOL_OPTS=wol g 
        # 일반사용자의 eth0 제어 가능여부 
        USERCTL=no 
        # IPV6 사용여부 
        IPV6INIT=no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XXX

ifconfig, netstat

  • ifconfig : "interface configuration"의 약자로 리눅스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 유틸리티이다.

    ifconfig 명령은 현재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표시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IP 주소, 넷 마스크 또는 Broadcast 주소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별칭을 만들고, 하드웨어 주소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비활성화하는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된다.
    • ifconfig -a :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 확인(비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도 볼 수 있음)
    • ifconfig [interface] : 인터페이스가 많은 경우 원하는 인터페이스만 볼 수 있다.
        $ ifconfig enp0s4
    • ifconfig [interface] down : 해당 인터페이스 비활성화
    • ifconfig enp0s4 up : 해당 인터페이스 활성화
    • ifconfig [interface] [IP] : 해당 인터페이스 IP 변경
        $ ifconfig enp0s4 10.0.2.1
    • ifconfig [interface] netmask [IP] : 해당 인터페이스 넷마스크 변경
        $ ifconfig enp0s4 netamsk 255.255.0.0
    • ifconfig [interface] broadcast [IP] : 해당 인터페이스 브로드캐스트 주소 변경
        $ ifconfig enp0s4 broadcast 10.0.255.255
    • ifconfig [interface] [IP] netmask [IP] broadcast [IP] : 해당 인터페이스 IP/넷마스크/브로드캐스트 주소 한꺼번에 변경
        $ ifconfig enp0s4 10.0.2.1 netmask 255.255.0.0 broadcast 10.0.255.255
    • ifconfig [interface] hw ether [mac address]: 해당 인터페이스 맥 어드레스 할당
        $ ifconfig enp0s4 08:00:27:54:10:f1
      • ifconfig [interface]:0 [IP] : 인터페이스에 별칭 추가해서 가상 인터페이스 만들기
        $ ifconfig enp0s4:0 10.0.2.10
  • netstat : 네트워크 연결 상태,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 상태 등을 보여주는 명령어
    • netstat -an : 모든 네트워크의 상태를 출력(-a 옵션), 도메인 숫자를 숫자로 출력(-n 옵션)
    • netstat -rn : 라우팅 테이블 출력(-r 옵션)

tcpdump

  • tcpdump -i ens192 : 인터페이스 ens192 를 보여준다.
  • tcpdump -i ens192 host 10.0.0.1 : host를 지정하면, 이 IP 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양방향 패킷을 모두 보여준다.
  • tcpdump -i ens192 port 22 : 포트 양방향으로 22인 것에 대해 보여준다.
  • tcpdump -i ens192 host 10.0.0.1 and port 22 -nn : -nn 옵션을 사용하면 프로토콜과 포트번호를 이름으로 바꾸지 않는다. (이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포트 번호와 프로토콜이 숫자로 나오지 않고 이름으로 나오게 된다.)

커널 파라미터 및 TCP 파라미터

  • cat /proc/sys/net/ipv4/tcp_keepalive_time : keepalive 소켓의 유지시간. 타이머는 이 시간을 기준으로 동작하며 이 시간이 지나면 keepalive 확인 패킷을 보낸다.
  • vi /etc/security/limits.conf : nproc, nofile 설정
    • nofile : 해당 도메인(사용자, 그룹)이 오픈할 수 있는 최대 파일 개수
    • nproc : 해당 도메인(사용자, 그룹)의 최대 프로세스 개수

모니터링

  • LINUX : top, nmon
  • HP-UX : glance
  • AIX : nmon

HA(High Availability, 고가용성)

  • HA 솔루션 = 이중화 솔루션

    HA 솔루션 종류

  • HP-UX OS의 MC/SG(=Service Guard) : HP-UX OS 이중화 솔루션
  • AIX OS의 HACMP : AIX OS 이중화 솔루션)
  • Veritas Infoscale : 3rd party 솔루션(외산)
  • Mactech MCCS : 3rd party 솔루션(국내)

HA 솔루션이 하는 일

  • 모니터링 : HA를 구성하는 서버들 헬스 체크하다 누군가 죽으면, 죽은 서버가 하는 역할을 다른 서버가 할 수 있도록 전환
  • 디스크 미러링(=디스크 복제)
  • 네트워크 VIP 전환
  • 특정 서버에서 수행중인 프로세스를 해당 서버가 죽었을 때 다른 서버에서 자동으로 기동 해줌(프로세스 기동 순서, Config 파일 등등)

반응형